카스파로프1 20번째 이야기 - 무차별 대입법, 지능형 검색, 휴리스틱 검색 ● 꼭 컴퓨터가 인간의 두뇌처럼 작동해야 하나요? ● 체스는 역사적으로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최적의 실험 무대로 평가받아왔습니다. 왜 그랬을까요? ● 체스는 현실 세계에 비해 움직임과 목표가 분명합니다. 또, 명확한 문제의 정의가 가능하면서도 바둑만큼은 아니지만, 꽤나 단순하지 않은 '사고'를 요구합니다. ● 물론 여기에서의 '사고'는 사람의 생각하는 방식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'합리적 행위의 측면'으로써 의미가 강합니다. ●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천재 수학자인 클로드 섀넌도 '체스'를 둘 줄 아는 기계에 관심을 보였습니다. ● 그는 체스 컴퓨터 프로그래밍(1949)이라는 자신의 논문을 통해 체스 머신이 탑재하게 될 프로그램의 요소에 대해 소개해주었죠.. 2022. 11. 4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