병목1 30번째 이야기 - 오토인코더, autoencoder, 경사하강법, 평균제곱오차, mse ● 이번에는 이미지에 대한 잠재 공간을 생성하는 오토 인코더(AutoEncoder)에 대해 살펴봅시다. ● 오토 인코더의 구조는 아주 간단합니다. 입력 그대로를 출력하는 딥러닝 모델입니다. 우리는 여기서 은닉층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● 여기서의 은닉층의 노드 수는 입력 값의 노드 수보다 적습니다. 즉, 한정된 은닉층을 갖기에 정보를 압축할 수밖에 없습니다. 병목(Bottleneck)이라고 불리는 이 곳에서 생성되는 벡터는 이미지 잠재 공간을 형성합니다. 즉, 워드투벡에서와 같이 계산을 가능하게 합니다. ● 사람의 얼굴에서 웃음끼를 -1, -2, -3 할 수 있으며, 역으로 더할 수도 있습니다. 아래와 같이 잠재 공간에서는 이미지 모핑 작업을 할 수도 있게 됩니다. ● 잠재공간을 정리해봅시다. 한마디.. 2022. 11. 21. 이전 1 다음